목차
1.기본 모션캡처 준비 자료
•
레퍼런스 영상(확보된 경우)
•
스토리보드
◦
씬(컷) 넘버로 구분되어 있어야 함.
•
촬영 타임테이블
◦
타임테이블에는 촬영 시간, 스토리보드에 있는 씬(컷)넘버, 등장할 캐릭터, 저장될 파일이름등의 내용을 정리.
◦
특히, 모캡 액터의 숫자가 씬(컷)에 등장하는 캐릭터보다 적다면, 촬영을 어떤 순서로 진행할지를 구분해서 정리.
◦
보통 1시간~1시간 30분에 10분~20분정도 휴식시간을 주는게 액터를 위해서 좋음.
•
액터 준비물
◦
신발 : 모캡 마커를 신발부분에 달아야 하는데 저희는 덧신을 신습니다. 그렇기에 일반적인 러닝화가 가장 좋습니다. 목이 길거나 뒷꿈치가 불룩하거나, 밑창이 두꺼운 경우는 피해주십시요.
안 좋은 신발 예시
2.바디 + 핑거 퍼포먼스 모션캡처
•
기본적으로 레퍼런스 영상, 스토리보드, 촬영 타임테이블은 위와 같이 준비
•
언리얼 라이브 프리비즈 필요한 경우 : 언리얼 엔진 어셋(캐릭터,배경 레벨)
◦
필수
▪
캐릭터(스켈레탈 메시로 임포트된 캐릭터 파일)
◦
옵션
▪
레벨(캐릭터와 배경, 라이팅이 세팅된 레벨)
•
언리얼 엔진 어셋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바디,핑거 모션캡처만 진행하는 경우)
◦
본 세팅이 되어 있는 캐릭터 FBX 파일
3.페이셜 캡처 진행시
•
루미플로는 페이셜 캡처를 아이폰을 이용해서 진행
•
그러므로 페이셜 캡처할 캐릭터에는 51개의 블랜드 쉐입이 세팅이 되어 있어야 함
4.메타휴먼을 사용하는 경우
1)페이셜 캡처
메타휴먼을 이용하는 경우 페이셜 캡처는 2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1.
페이셜을 언리얼 엔진의 캐릭터에서 프리뷰를 보면서 바로 시퀀스에 녹화하는 방식
2.
메타휴먼애니메이터 : 캐릭터 프리뷰는 안되고, 아이폰에 녹화를 하고 후보정을 통해서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
1번의 장점은 프리뷰도 되고, 시퀀서에 바로 녹화가 되기 때문에 특별히 후보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퀄리티 부분에서 2번 방식이 1번보다 훨씬 좋습니다.
메타휴먼 애니메이터에 대한 퀄리티는 아래 동영상을 참고 바랍니다.
(루미플로의 메타휴먼애니메이터 샘플 영상 준비예정)
아쉽게도 두 방식은 동시에 캡처를 할수가 없습니다. 즉 액터가 모캡 슈트를 입고, 아이폰 헤드기어를 쓰고 모션캡처를 할때 2가지 방식중에 하나만 선택이 가능합니다. 동시에 2가지 데이터를 받을수는 없습니다.
보완적으로 이렇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모션캡처시에는 1번 방식으로 캡처를 해서 캐릭터의 움직임과 페이셜 프리뷰를 동시에 보면서 캡처
2.
바디 + 페이셜 작업이 끝난후 메타휴먼애니메이터로 옵션을 변경하고, 따로 페이셜 데이터만 녹화.
이런 방식으로 하면 후보정에서 메타휴먼애니메이터 작업을 거쳐서 추가적으로 페이셜 데이터를 적용할수있습니다.
메타휴먼 애니메이터의 작업 방식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 바랍니다.
모캡 시간, 요구되는 페이셜 퀄리티와 후보정 작업에서의 공수 등을 감안해서 옵션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2)바디캡처
특이 사항 없음.
EOD.